'맘편한 임신' 임산부 지원서비스란?
2021년 4월19일부터 시행된 '맘편한 임신' 서비스는 정부에서 임신과 출산 지원을 하기위해 따로 방문하지 않아도 되는
정부24 또는 근처 보건소‧주민센터에서 한 번에 안내 받고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2021년 시행전까지는 임산부들이 나라에서 지원하는 전국 공통 서비스를 개별 서비스 제공기관에 각각 신청해야 했습니다.
■ 임산부 전국 공통 서비스
- 엽산제 철분제 지원
- 맘편한 KTX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국민행복카드)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의료급여 수급자)
- 청소년 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 에너지 바우처
- 표준모자보건수첩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개별 신청 안내 서비스 별도 (+자치단체 제공)
하지만 '맘편한 임신'서비스가 생긴 이후로는 엽산과 철분제 등 물품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임산부가 원하는 장소를 지정해 택배 신청도 가능합니다. 코로나 19감염 우려로 비대면을 원하는 임산부는 빠르고 편하고 안전하게 임산부 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부 24 신청으로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어 지난해 대비 올해 전체 신청건수가 늘고있고 택배신청 건수가 2배이상 증가하여 맘편한임신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임산부들이 나날이 늘고있습니다.
정부24 '맘편한 임신' 서비스지원 방법
정부24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정부24홈페이지 로그인후 홈페이지 아래로 스크롤 내립니다.
원스톱서비스에서 맘편한 임신 클릭 합니다.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에서 맘편한 임신 온라인 통합처리신청 클릭 합니다
각 서비스에 대한 동의 후 신청인정보 기재 > 서비스신청 > 구비서류첨부까지 입력하시면 완료입니다.
'맘편한 임신'신청인 자격요건
지원대상자 본인만 온라인 신청가능하고, 본인확인이 필요합니다. 신모와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서비스의 경우 30일 전부터 출산일 +30일까지 신청 가능하고, 에너지바우처 신청서비스는 임신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의료급여와 생계급여 수급자만 신청가능합니다. 잘 확인하셔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달라지는 임산부 혜택 모아보기 (2023~2024)
2022년~2024년까지 달라지는 임산부 혜택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 부모급여
부모급여는 출생연도 상관없이 만 0-만1세 부모급여 지원합니다.
(엄마수당대체)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만 1세미만 | 30만원 | 70만원 | 100만원 |
만 1-2세미만 | 30만원 | 35만원 | 50만원 |
- 가정보육시 현금성지급
- 어린이집 이용시 바우처형태로 어린이집 보육료로 결제 (차액 개인자유)
어린이집 보육료 | |
만0세 | 499,999원 |
만1세 | 439,000원 |
■ 첫 만남 이용권 바우처
첫 만남 이용권 바우처는 2022년 이후 출산한 가정에 한명당 200만원
최초 2회 200만원 지원(출생일로부터 1년 내 사용가능)합니다.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바우처 사용가능한 기관에서 카드결제로 바우처 차감되는 방식 산후조리원 /백화점/ 인터넷 쇼핑몰/ 배달 앱 /유흥업소 /레저 등은 제외 |
■ 아동수당
아동수당은 만 8세 미만 아동 (초등학교 2학년 생일 전월까지 지급)
가정보육 상관여부없습니다.
8세미만 (0-96개월) 10만원 지원합니다.
■ 영아수당
영아수당은 2022년 1월1일 이후 출생아 중 가정보육하는 0-23개월 아동 30만원 지원합니다.
■ 양육수당
양육수당은 2022년 1월1일 전 출생아 중 84개월 미만 초등학교 입학전의 아동 (어린이집 유치원 가지않는 아동)
*사교육 기관에 가는 아동들도 지급대상이며 매월 25일 지급합니다.
0-11개월 | 20만원 |
12-23개월 | 15만원 |
24-84개월 | 10만원 |
달라지는 임산부 혜택 정리!!
2022년 출생연도가 아닌 개월 수로 지급되므로 22년 출생 아이에게도 적용됩니다.
달라지는 임산부 혜택에 대하여 정리하겠습니다.
2022년 11-12월 | 40만원 (영아수당 30만원,아동수당 10만원) |
2023년 1-10월 | 80만원 (영아수당 70만원,아동수당 10만원) |
2023년 11-12월 | 44만원 (영아수당 35만원,아동수당 10만원) |
2024년 1-10월 | 60만원 (영아수당 50만원,아동수당 10만원) |
출생연도와 개월수에 맞추어 해당되는 혜택들을 꼼꼼히 확인하시고 신청하길 바라며 정부 24에서 따로 방문하지 않고 편하게 모바일로 신청하실 수 있고 각 지자체마다 제공하는 혜택들도 다르니 각 지역 자치단체 제공하는 용품, 주차증, 뱃지,산모교실 등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잘 이용하시길 바랍니다.아이키우기 더 좋은 환경이 되길 기대해 봅니다.
'리뷰하는 밍마드 > 정보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월세 지원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3.09.28 |
---|---|
대구에서 인천공항 가는 방법 :: KTX , 공항리무진 버스 (가격, 이용방법) (1) | 2023.09.27 |
코레일 KTX "내일로 두 번째 이야기" 7일권, 3일권 (예매/ 가격/ 혜택 역/ 사용방법) (0) | 2023.09.27 |
KTX 좌석 추천 명당자리 예매 이용 꿀팁!! (콘센트 위치, 특별석 추천) (0) | 2023.09.17 |
알뜰교통카드 뿐 아니라 오른 대중교통비 환급받을수 있다? (0) | 2023.09.15 |